
- 사법
- 행정
- 위원회
- 입법
- 법률가
- 사회·법QnA
- 경제와 법
급박한 상황에서 1m 정도 음주운전을 해 벌금형을 받은 외국인에게 출국명령 처분까지 한 것은 부당해 취소해야 한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한국인 남편과 혼인 후 자녀를 출산하고 생활비를 벌면서 양육하던 이주여성을 불법체류로 현행범 체포해 강제퇴거 명령 처분을 한 것은 부당하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승객의 교통불편신고 내용만을 고려해 택시기사가 목적지 도달 전 운행을 중단한 것이 ‘도중하차’에 해당한다며 한 서울시의 경고처분은 위법·부당하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학교법인의 위탁을 받아 운영되는 사업장이라도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면 고용보험료율 산정 시 학교법인의 상시근로자 수를 합산해서는 안 된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미국 CIA의 북파첩보부대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는데도 객관적인 자료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이를 인정받지 못했던 작곡가가 행정심판을 통해 참전유공자로 인정받게 됐다.
한국전쟁 발발 직전 산악마을의 야간경비를 서다 적대세력에 의해 피살된 희생자는 동원·징발된 기록이 없더라도 전몰군경 등록을 해 줘야 한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상수도 원인자부담금은 택지개발사업시행자가 부담해야 하므로 납부의무가 없는 개발택지 건물 건축주에게 부담금을 부과한 제주도지사의 처분은 원천 무효라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가 정보공개청구를 받고도 <정보공개법>의 적용을 받는 공공기관이 아니라며 공개를 거부한 한 예술대학교의 처분을 취소했다.
육아휴직 대체인력의 고용보험 이력으로만 고용안정장려금 지급요건을 판단해 사업주에게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은 고용노동청의 처분은 위법하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
제적등본과 참전증명서상의 이름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부친의 참전유공자 등록을 거부당한 유족이 권익위의 고충민원과 행정심판을 통해 결국 부친의 6·25참전사실을 인정받게 됐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