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법
- 행정
- 위원회
- 입법
- 법률가
- 사회·법QnA
- 경제와 법
국정원감시네트워크는 3일 국회 정보위의 국가사이버안보법 논의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의 민간 정보통신망 사찰·통제 위험성을 지적하며 관련 법안의 폐기를 촉구했다.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얼굴 인식기술은 인공지능 기술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기술이라며 인권침해요소들에 대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원감시네트워크가 국회 정보위원회에 국가사이버안보법안 논의 중단과 법안 폐기를 촉구했다.
정보인권연구소 장여경 상임이사는 법무부·과기부의 얼굴인식인공지능식별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은 기만적 사업이라며 철저히 감사하라고 촉구했다.
민변·참여연대 등은 법무부·과기부의 얼굴인식 인공지능식별추적시스템 구축사업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피해자들과 환경시민사회단체들이 “대선후보들은 가습기살균제 참사피해자 전원보상을 공약하고, 최태원 SK그룹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제 자동차는 이동의 수단만이 아닙니다. 개성이라는 이름으로 본인 차량을 개조하거나 튜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꾸미게 됩니다. 그런데, 자칫하면 자동차관리법위반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위기의 공수처 1년, 분석과 제언' 토론회에서 민변 김지미 변호사는 공수처가 견제 받지 않는 ‘섬' 같은 존재로 전락했다며 책임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참여연대는 21일 공수처 앞에서 '공수처 출범 1년, 시민 의견 전달 기자회견’을 열고 공수처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과 응원 목소리를 전달했다.
'위기의 공수처 1년, 분석과 제언 토론회'에서 한상희 교수는 "공수처 설치 1년, 공보다는 과가 많은 실패, 실수의 기억에도 공수처의 존재는 시대적 소명"이라고 말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