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이혼 절차에 돌입하면 가장 민감한 쟁점 중 하나가 바로 양육권이다. 경제력이나 감정적 호소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법원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아이에게 가장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쪽을 선택한다.
진동환 부산 이혼전문 변호사는 “양육권 분쟁은 부모의 권리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복리를 중심으로 판단된다. 재판부는 당사자의 주장보다 실제 양육 환경을 더 중점적으로 본다.”면서, 법원이 양육권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선 아이의 안정적인 ‘양육 환경’이 핵심이다. 현재 누가 주 양육자로서 일상적인 보육·교육·건강 관리를 담당해 왔는지, 그 과정이 얼마나 지속됐는지가 중점적으로 평가된다. 갑작스러운 양육 환경 변경이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기존 주 양육자에게 양육권을 인정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부모의 ‘양육 능력과 태도’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경제력은 고려 요소 중 하나지만, 단순 소득의 많고 적음보다는 실제 양육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 정서적 안정성, 아이와의 유대감 등이 더 비중 있게 평가된다. 정신적·정서적 불안정, 과도한 음주, 지속적인 갈등 유발 사실 등이 확인되면 양육권 판단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자녀가 충분히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나이라면 아이의 의견 역시 참고된다. 다만 특정 부모의 영향력 아래에서의 왜곡된 진술인지 여부도 함께 검토되며, 아이의 발달 상태와 정서적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부모 간 갈등의 정도도 무시할 수 없다. 지속적인 폭언, 양육 방해, 일방적 이사 등은 공동 양육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양육권 판단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진동환 변호사는 “양육권은 부모 중 누가 ‘더 나은 사람인가’를 가리는 과정이 아니라, 아이에게 가장 적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쪽을 찾는 판단이다.”라면서, “분쟁이 심화되기 전에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양육 환경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양육권 분쟁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은 감정적 공방이 아니라 안정성·지속성·양육 의지라고 강조한다. 법원이 아이의 장기적인 복리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원칙은 대부분의 양육권 분쟁 판결에서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도움말 : 법률사무소 W, 진동환 가사법 전문변호사